카테고리 없음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제초제
▶아라리 아자씨
2006. 3. 3. 21:52
![]() |
더덕 직파재배시 적정제초제 | ||||||||||||||||||||||||||||||||||||||||
![]() |
기관 : 전북농업기술원 | ||||||||||||||||||||||||||||||||||||||||
![]() |
성명 : 임주락 | ||||||||||||||||||||||||||||||||||||||||
![]() |
전화 : 063-433-7451 | ||||||||||||||||||||||||||||||||||||||||
1. 더덕 잡초 방제 현황 | |||||||||||||||||||||||||||||||||||||||||
최근 작물과 경합을 하는 잡초의 방제를 위해서 제초제를 이용한 잡초방제가 주종을 이루면서 제초제의 소비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초제들은 주요 작물인 수도나 대규모로 재배되는 밭작물의 잡초 방제에만 주로 사용되고 있고, 소규모로 재배되는 특용작물, 약용작물 및 산채류는 잡초방제를 위한 적당한 제초제뿐만 아니라 잡초 방제기술의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더덕(Codonopsis lanceolata (S. et Z.) Trautv.)은 숙근성 다년생 초본덩굴식물로 직파재배시 생육초기에 잡초와의 경합력이 약하여 더덕에 대한 제초노력비가 총경비중 34%를 차지하고, 방임시 90%이상 수량감소를 보인다. | |||||||||||||||||||||||||||||||||||||||||
2. 잡초방제효과 및 약해 | |||||||||||||||||||||||||||||||||||||||||
약제처리 30일 후인 생육초기의 잡초방제효과를 표 2에서 보면 잡초발생수는 파미드수화제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적었으며, 잡초의 건물증도 진안 1.2g/㎡(1998), 29.2g/㎡(1999), 장수 6.6g/㎡, 익산 11.6g/㎡로 방임구(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86.5%, 81.4%, 92.9%, 79.1%의 잡초방제 효과를 보였고, 펜디입제도 70%이상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약제 처리후 60일에는 두 가지 약제 모두 방제가 떨어졌다. 두가지 약제 모두 약해는 없었다. 따라서 파종후 약제 1회 처리로는 방제 효과가 부족하며 약제처리후 최소한 1∼2회 정도 제초작업을 해주어야 한다(표 2, 3). | |||||||||||||||||||||||||||||||||||||||||
|
|||||||||||||||||||||||||||||||||||||||||
|
|||||||||||||||||||||||||||||||||||||||||
3. 주요 발생 잡초 | |||||||||||||||||||||||||||||||||||||||||
주요 발생 잡초로는 진안에서는 바랭이, 속속이풀, 명아주, 쑥 등이 우점하였으며, 장수에서는 명아주, 바랭이, 쇠비름, 여뀌 순이었고, 익산에서는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순으로 우점하였다. 약제별로는 파미드수화제의 경우는 진안에서는 속속이풀과 바랭이가 우점하였지만, 장수에서는 명아주, 익산에서는 쇠비름이 우점하였다. 펜디입제의 경우는 주로 바랭이가 우점하였고, 장수에서만 명아주가 우점하였다. 포장에서 약제처리후 약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생력재배면에서 더덕 재배시의 제초제로서는 파미드수화제와 펜디입제의 실용성이 높다. | |||||||||||||||||||||||||||||||||||||||||
|
|||||||||||||||||||||||||||||||||||||||||
4. 후기 생육 및 수량 | |||||||||||||||||||||||||||||||||||||||||
후기 생육 및 수량조사 결과 (표 4) 파미드수화제 처리가 진안은 생근중 4.0g/주, 수량 312㎏/10a, 장수는 각각 12.6g/주, 679㎏/10a, 익산은 각각 2.6g/주, 254㎏/10a으로 무처리 보다는 훨씬 좋았고, 관행인 손제초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장수에서 생육 및 수량이 월등히 좋았던 이유는 앞에서 서술한 약제살포 전후 좋은 기상상황과 토양 비옥도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약제처리에 의한 수량감소율을 보면 피라미드수화제의 경우 손제초에 비해 거의 수량감소가 없었고, 펜디업제는 약 5∼15%의 수량감소율을 보였으나, 무처리 수량감소율 약 60∼90%에 비하면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
|
|||||||||||||||||||||||||||||||||||||||||
| |||||||||||||||||||||||||||||||||||||||||
참 고 문 헌 | |||||||||||||||||||||||||||||||||||||||||
강화석 외. 1997. 더덕 및 참취포장에서의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한 잡초방제. 한 국자원식물학회지. 10(2) : 169-174. 구자옥 외. 1995. 신고잡초방제학. 향문사. 박종천 외. 1987. 더덕 재배에 알맞은 제초제. 농시논문집(작물) 29(1) : 306-308. 이종기 외. 1998. 잡초방제에 관한연구. 농시논문집(전특작편) 30(2) : 68-73. | |||||||||||||||||||||||||||||||||||||||||